JavaScript isn't enabled in your browser, so this file can't be opened. Enable and reload.
[한양대학교박물관] 한양뮤지엄아카데미 12기 설문조사
간단한 설문입니다! 더 나은 한양뮤지엄아카데미를 위해 적극적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 Indicates required question
참여자의 성별을 선택해주세요.
*
남
여
소속을 선택해주세요.
*
대학생
교직원
일반인
이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경로는 무엇입니까?
*
박물관 홈페이지 공지사항
박물관 SNS 게시글
교내 부착 홍보물
신문(인터넷 신문, 한대신문 등)기사
지인 추천
교내 캠퍼스 이메일
비교과포털(HY-LU) 사이트
우편물
이전에 한양대학교박물관의 다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
있다
없다
강연의 주제와 구성은 적절했습니까?
*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강연의 난이도는
적절했습니까?
*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강연 내용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습니까?
*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강연의 일정 및 시간 배정은 적절했습니까?
*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박물관 측의 강좌 운영은 만족스러웠습니까?
*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온라인 참여자) 동영상 화질은 선명하였습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Clear selection
온라인 참여자) 음질은 선명하였습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매우 그렇다
Clear selection
다음 한양뮤지엄아카데미는 어떤 방식으로 수강하기를 원하십니까?
*온라인/오프라인 선호도 조사입니다.
*
온라인
오프라인
이번 아카데미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강좌는 무엇입니까?
*
1. 역사와 신화: 기록의 빛과 그늘(고운기,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 돌에 새겨진 고대인의 기록: 유라시아의 암각화(강인욱,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3. (답사) 디지털로 다시 기록하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와 문화유산 애셋(김진경,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4. 고려에서 조선까지, 옷으로 읽는 기록(김윤정,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
5. 유럽의 초상화와 초상 조각: 덕성과 명성의 기록(박정호,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6. 조선 회화, 기록으로 보는 역사와 사상(유재빈,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7. 우리가 몰랐던 인도의 기록: 무굴제국의 황제 이야기(구하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
8. 고대 이집트, 문자의 문화사(곽민수, 한국이집트학연구소 소장)
9. 기록이 말하는 다양한 이야기(김시덕, 도시문헌학자)
앞으로 한양뮤지엄아카데미에서 어떤 주제의 강연을 듣고 싶으신가요?
Your answer
이번 아카데미에 대한 의견, 만족했던 점, 불편했던 사항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해주시길 바랍니다.
Your answer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form was created inside of Hanyang Universit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
Forms
Help and feedback
Contact form owner
Help Forms improve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