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및 국내 제도 개선방안 발굴(BIM 유경험 기업 실무 및 유관 전문기관 전문가 대상)

본 인터뷰는 국토교통부의 정책 연구인 해외사례를 통한 건설엔지니어링 육성방안 연구와 관련하여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활성화, 특히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실시됩니다.


BIM을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의 실무자 및 유관 전문기관 전문가를 대상으로 1)BIM 도입 및 활용, 2)BIM의 기술적 측면 및 문제점, 3)BIM의 제도적 지원 및 개선방안 관련 내용이 조사되며, 의견 주신 답변을 토대로 향후 건설엔지니어링 활성화를 위한 BIM 관련 국내 제도 개선방안 수립에 반영하고자 하오니 각 항목의 질문에 성실하게 응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지를 통하여 얻게 되는 모든 내용은 조사목적 이외에 절대 사용하지 않으며, 귀관(사)의 응답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이 보장됨을 약속드립니다.


기타 궁금한 점에 관한 문의는 아래 담당자 연락처로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문의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염동준 수석연구원 (djyeom@kict.re.kr, 031-910-0562)

Sign in to Google to save your progress. Learn more
응답자의 소속 기관을 입력해 주십시오. *
응답자의 소속 부서를 입력해 주십시오. *
응답자의 성명을 입력해 주십시오. *
응답자의 담당업무를 입력해 주십시오. *
귀하의 직무 분야는 무엇입니까? (중복선택 가능) *
Required
귀하의 전문 분야는 무엇입니까? (중복선택 가능) *
Required

귀하의 역할 또는 책임 수준은 무엇입니까?

*

I. BIM 도입 및 활용 관련 질문  

* 본 단계는 BIM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및 국내 제도 개선방안 발굴을 위한 세부적인 질문에 앞서, BIM을 도입·활용하고 있는 귀관의 사업과 관련한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본 질의서의 해당 칸에 체크(표시) 및 작성(주관식) 부탁드립니다.

1. [BIM 도입] 귀관 또는 프로젝트에서 BIM을 도입하신지 얼마나 되었습니까?

*

2. [BIM 도입 단계] 귀관 또는 프로젝트에서 BIM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단계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3. [BIM 적용 범위] 현재 귀관에서는 BIM을 주로 어떤 분야(건축, 토목, 인프라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까?(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4. [BIM 적용 범위] BIM 적용 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 설계 정확성, 시공 효율성, 비용 절감 등)

*

5. [BIM 도입 배경 및 목적] 귀관 또는 프로젝트에서 BIM을 도입하게 된 주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귀하가 생각하시는 BIM 도입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각 단계에서 제공하는 이점을 실무적 관점에서 말씀해주십시오.

*

6. [BIM 도입 효과] BIM 도입 후, 귀관에서 가장 크게 개선된 점은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7. [BIM 도입 효과] BIM 도입 시,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8. [BIM 활용 성과] 귀하께서는 BIM 도입 후 프로젝트 성과물 관리 측면에서 변화를 느끼셨습니까? BIM을 통해 개선된 점과 미진한 점을 구분하여 말씀해주십시오.

*

. BIM의 기술적 측면 및 문제점 관련 질문  

* 본 단계는 BIM 도입 및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와 한계를 파악하는 단계로, BIM 모델링,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사용 등의 기술적 과제를 도출하고, 그로 인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본 질의서의 해당 칸에 체크(표시) 및 작성(주관식) 부탁드립니다.

9. 귀관 또는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BIM 소프트웨어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10. [BIM 기술 적용] 귀관에서는 BIM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자체 활용 or 애드온 형태의 프로그램 활용)를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고 계십니까? BIM 기술 적용 시 주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나 한계에 대해서도 함께 말씀해주십시오.

*

11. [BIM 데이터 관리] 현재 BIM 데이터 관리에서의 주요 문제는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12. [BIM 데이터 관리] 귀관에서는 BIM 데이터의 표준화와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십니까?  

*

13. [BIM 라이브러리 및 자재 정보] 귀관에서는 BIM 라이브러리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습니까(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14. [BIM 라이브러리 및 자재 정보]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BIM 라이브러리의 활용도와 그 품질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라이브러리의 표준화 및 거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이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해주십시오.  

*

. BIM 제도적 지원 및 개선 방안 관련 질문  

* 본 단계는 BIM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과 개선 방안을 파악하는 단계로, 현재 시행 중인 제도가 BIM 도입과 활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지원이 부족한지, 그리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식별 및 보다 효과적인 BIM 확산을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본 질의서의 해당 칸에 체크(표시) 및 작성(주관식) 부탁드립니다.

15-1. [제도적 지원 필요성] 귀하가 판단하시는 현재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주도의 법적/제도적 지원(의무화, 인센티브, 가이드라인 제공 등)에 대한 중요도를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중요하지 않다.
매우 중요하다.

15-2. [제도적 지원 필요성] 귀하가 판단하시는 현재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 주도의 법적/제도적 지원(의무화, 인센티브, 가이드라인 제공 등)에 대한 만족도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
매우 만족한다.

16. [제도적 지원 필요성] BIM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적 개선사항은 무엇입니까?
(복수선택 가능)

*
Required

17. [제도적 지원 필요성] BIM 활성화를 위해 정부나 관련기관으로부터 추가로 어떤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ex. 인센티브 형태의 제도 지원)

*

18-1. [BIM 가이드라인 및 표준화] 귀하가 판단하시는 현재 국내 BIM 가이드라인과 표준화 수준에 대한 중요도를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중요하지 않다.
매우 중요하다.

18-2. [BIM 가이드라인 및 표준화] 귀하가 판단하시는 현재 국내 BIM 가이드라인과 표준화 수준에 대한 만족도를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
매우 만족한다.

19. [BIM 가이드라인 및 표준화] BIM 가이드라인을 개선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20. [BIM 교육 및 훈련] BIM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귀하는 어떤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BIM의 발전 방향 관련 질문  

* 본 단계는 BIM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단계로, BIM 기술의 향후 변화, AI IoT와의 융합,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BIM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본 질의서의 해당 칸에 체크(표시) 및 작성(주관식) 부탁드립니다.

21-1. [BIM 발전 방향] 귀하가 판단하시는 향후 BIM 기술의 발전과 적용 확대에 대한 중요도를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중요하지 않다.
매우 중요하다.

21-2. [BIM 발전 방향] 귀하가 판단하시는 향후 BIM 기술의 발전과 적용 확대에 대한 기대 정도를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기대하지 않는다.
매우 기대한다.

22. [BIM 발전 방향] 귀관 또는 업계에서 BIM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23-1.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 글로벌 BIM 시장과 비교했을 때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라고 평가하십니까? 글로벌 BIM 시장의 경쟁력을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낮다.
매우 높다.

23-2.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 글로벌 BIM 시장과 비교했을 때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라고 평가하십니까?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을 10점척도에 따라 답변해주십시오. 

*
매우 낮다.
매우 높다.

24. [국내 BIM 시장의 경쟁력] 국제 표준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나 제도적 개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25. BIM 관련하여 추가로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말씀해 주십시오.  

* 모든 질문이 끝났습니다. 다시한번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Submit
Clear form
Never submit passwords through Google Forms.
This content is neither created nor endorsed by Google. -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Does this form look suspicious? Report